성명 | 박성현 (朴省炫) | ||
---|---|---|---|
직위 | 부교수 | ||
학과 | 국사학과 | 전공 | 한국 고대사 |
사무실 | 14동 514호 | 홈페이지 | |
이메일 | historypark@snu.ac.kr | 연락처 | (02) 880-6178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2010년 신라의 성과 군현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부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2023년 9월부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地籍原圖와 GIS를 활용한 신라 王都 街路 체계의 복원」(2020),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2020), 「가야 제국(諸國)의 공간 구조와 성(城)」(2021), 「신라 통일기 한주(漢州)의 물자 이동과 조운(漕運) -하남 선동 출토 명문 기와를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약 력
2010~201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원, 연구교수
2013~2014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2014~2022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부교수
2022~2023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2023~현재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
저 서
《조선후기 평안도 사회발전연구》, 일조각, 2002.
《역사콘텐츠의 실태와 개발방안에 대한 실무적 연구–인문정책연구총서》, 한국교육개발원 인문사회연구회, 2002.
《조선시대 정치, 틀과 사람들》,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0.
《춘향전, 역사학자의 토론과 해석》, 그물, 2020.
공 저
《조선정치사 1800∼1863》上·下, 청년사, 1990.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국왕과 신하가 함께 만든 나라, 조선》, 국립고궁박물관. 2016.
《정조와 정조 이후》, 역사비평사, 2017. (기타 공저 생략)
역 서
《삼국유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논 문
<6~8세기 新羅 漢州 「郡縣城」과 그 성격>《한국사론》47,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2.
<4세기 전후 신라의 토성 축조와 그 목적 -영남 지역 초기 토성의 성격->《한국사연구》 139, 한국사연구회, 2007.
<신라 城址 출토 문자 자료의 현황과 분류>《목간과 문자》 2, 한국목간학회, 2008.
<신라 尙·良·康州 郡縣城의 양상과 형성 과정>《한국고대사연구》 55, 한국고대사학회, 2009.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정계 -「중원고구려비」와 양국 경계의 재검토->《역사와 현실》 76, 한국역사연구회, 2010.
<신라 郡縣 중심지의 공간 구조와 地方官衙의 위치 -尙·良·康州를 중심으로->《한국고대사연구》 59, 한국고대사학회, 2010.
<북한강 유역 신라 郡縣의 형성과 구조>《한국한문고전학회》 22, 한국한문고전학회, 2011.
<포항 중성리신라비 비문의 형식과 분쟁의 성격>《한국문화》 5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역사와 현실》 82, 한국역사연구회, 2011.
<신라 통일기 州·小京의 성곽과 그 활용 -漢山州와 國原小京을 중심으로->《한국성곽학보》 21, 한국성곽학회, 2012.
<신라 郡-城·村制의 특징과 郡縣制로의 전환>《한국사연구》 163, 한국사연구회, 2013.
<박정희 정권의 ‘화랑도(花郞道)’ 교육 -내용의 연원과 관철의 방식->《역사와 현실》 96, 한국역사연구회, 2015.
<『한서』 지리지 낙랑군 3수의 비정에 대한 검토>《한국고대사연구》 79, 한국고대사학회, 2015.
<삼국시대 금호강 유역의 공간 구조와 물자 이동 -押梁郡을 중심으로->《백제문화》 54, 백제문화연구소, 2016.
<통일신라시대 금호강 유역의 공간 구조 개편>《백제문화》 56, 백제문화연구소, 2017.
<신라 6부의 시기적 변천과 기본 성격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한국고대사연구》 89, 한국고대사학회, 2018.
<월성 해자 목간으로 본 신라의 왕경>《목간과 문자》 20, 한국목간학회, 2018.
<신라 왕경 6부의 경계에 대한 연구>《대구사학》 134, 대구사학회, 2019.
<신라 문소군, 숭선군의 구조와 군현 편성 원리>《한국학논집》 74,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삼국통일 후 신라의 지방 제도, 얼마나 달라졌나?>《역사비평》 127, 역사비평사, 2019.
<6~8세기 신라 동북 경계의 변천과 구조》《한국학논집》 7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地籍原圖와 GIS를 활용한 신라 王都 街路 체계의 복원>《한국상고사학보》 107, 한국상고사학보, 2020.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한국고대사연구》 97, 한국고대사학회, 2020.
<5~6세기 신라 팔거리(八居里)의 지역 집단과 성 -구암동고분군·팔거산성의 성격과 관련하여->《중앙사론》 53,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1.
<가야 제국(諸國)의 공간 구조와 성(城)>《한국학논집》 8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신라의 ‘남·북 한산성’ 축조와 경영>《역사문화연구》 79,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고대사학에서 고대학으로>《역사학보》 251, 역사학회, 2021.
<신라 통일기 한주(漢州)의 물자 이동과 조운(漕運) -하남 선동 출토 명문 기와를 중심으로->《역사와 현실》 121, 한국역사연구회, 2021.
<한국사의 의미에 비추어 본 현행 교육과정 고대사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대구사학》 147, 대구사학회, 2022.
<문경 고모산성의 역사적 가치>《한국성곽학보》 27, 한국성곽학회, 2022.
<고구려의 충주 지역 진출 시기와 경로>《중앙사론》 57,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신라 상주 및 화령군의 공간 구조 복원>《한국고대사연구》 108, 한국고대사학회, 2022.
<신라 소경의 기능과 공간 구조>《대구사학》 151, 대구사학회, 2023.
해제 및 평론
<『인조조의 반정공신세력에 대한 연구』의 분석>《역사비평》13, 1991.
<典客司別謄錄 해제>《典客司別謄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2.
<漂人領來謄錄 해제>《漂人領來謄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3.
<園幸乙卯整理儀軌 해제>《園幸乙卯整理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4.
<正祖健陵山陵都監儀軌 해제>《正祖健陵山陵都監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5.
<正祖國葬都監儀軌 해제>《正祖國葬都監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5.
<광산으로 몰려드는 사람들>《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청년사, 1996.
<어린 왕은 왕 노릇을 할 수 있었나>《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2 청년사, 1996.
<翼宗代聽時日錄 해제>《日省錄》제85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高宗壬寅進宴儀軌 해제>《高宗壬寅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純祖己丑進饌儀軌 해제>《純祖己丑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慈慶殿進爵整禮儀軌 해제>《慈慶殿進爵整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高宗御眞圖寫都監儀軌 해제>《高宗御眞圖寫都監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景慕宮儀軌 해제>《景慕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최명길과 김상헌>《역사비평》46, 1998.
<일관된 주장과 투명한 행적이 올바른 선택을 낳는다 -최명길과 김상헌->《역사의 길목에 선 31인의 선택》(共著) 푸른역사, 1999.
<銀臺條例 해제>《銀臺條例》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銀臺便攷 해제>《銀臺便攷》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兩銓便攷 해제>《兩銓便攷 ‧ 銀臺條例》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조선시대 국가‧민족체의 허와 실>《역사비평》58, 2002.
<조선후기사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위하여 -오종록 교수의 서평에 대한 반론->《역사와현실》47, 2003.
<서평 : 홍경래의 난, 폭넓은 시각과 수많은 논쟁거리(김선주)>《역사비평》83, 2008.
<한국사학의 의제 설정을 위하여>《역사와 현실》78, 2010.
<2011 역사 교육과정과 ‘자유민주주의’의 현실>《역사와 현실》81, 2011.
<서평: 문학의 시각에서 확인하는 조선후기 정치사의 기초 – 정병설, “권력과 인간: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2012>《민족문학사연구》48, 2012.
<최명길 – 시대의 소인, 역사의 거인>《현실주의자를 위한 변명》, 동녘, 2013.
<Book Review: Voice from the North: Resurrecting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Life and Work of Yi Sihang (1672–1736)>《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Studies》Vol. 11, issue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평안도에서 자란 저항의 주체들 –조선후기 민의 성장과 홍경래의 난>《전란으로 읽는 조선》, 글항아리, 2016.
<역사학 전공자의 조선후기 소설 읽기>《한국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 2018.
<한국 사회의 차별과 혐오에 대한 역사학의 고민>《역사와현실》111,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