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문중양 (文重亮) | ||
---|---|---|---|
직위 | 교수 | ||
학과 | 국사학과 | 전공 | 조선시대사, 한국과학사 |
사무실 | 14동 415호 | 홈페이지 | |
이메일 | moonsori@snu.ac.kr | 연락처 | (02) 880-6179 |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에서 통계학과 컴퓨터사이언스를 공부한 후, 대학원에서 서양과학사와 한국과학사를 공부했다. ‘조선후기의 수리학(水利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는 줄곧 조선후기 서구과학과 전통과학의 만남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우주론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성취에 대해서 연구해왔다. 처음에는 18세기 영·정조대의 과학 활동 및 사대부 지식인들의 과학관을 중심으로 연구를 했으나, 조선 초기 세종대 과학의 성취에도 관심이 많으며, 요즘에는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과학활동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과 『우리역사 과학기행』(2006년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선정한 ‘올해의 책’)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관심주제
조선후기 우주론, 동서양 과학의 만남, 여말선초 과학의 성격
약 력
1995.09.~1996.08. University of pennsylvania Post. Doc.
1996.09.~1997.08. Harvard University Post. Doc.
2001.10.~2002.0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단 연구교수
2002.09.~2005.01.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2005.02.~ 현 재 서울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10.08.~2011.07. University of Washington 교환교수
2017.08.~2018.08. 독일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과 교환교수
2018.01.~ 현 재 역사학회 평의원
2019.09.~ 현 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과장
2019.10.~ 현 재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저 서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집문당, 2000. 4. 25.
《불과 한국인의 삶》(共著) 나남출판, 2001. 10. 31.
《우리의 과학문화재》(共著) 한국과학문화재단, 1997. 3. 25.
《세계를 바꾼 20가지 공학기술》(共著) 생각의 나무, 2004. 7. 20.
《한국실학과 동아시아 세계》(共著) 경기문화재단, 2004. 6. 20.
《여헌 장현광의 학문세계, 우주와 인간》(共著) 예문서원, 2004. 9. 25.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번역) 소명출판, 2004. 12.
《국조역상고》(共譯) 소명출판, 2004. 12.
《한국 과학기술 인물 12인》(共著), 해나무, 2005.
《한국실학사상연구4》(共著),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5.
《우리역사 과학기행》, 동아시아, 2006.
《세종의 국가경영》(共著), 지식산업사, 2006.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국사편찬위원회, 2007.
《과학이 세상을 바꾼다》(共著), 한국과학문화재단, 2007.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共著), 지식산업사, 2008.
《개정신판 한국사특강》(共著),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유학사상대계 12; 과학기술사상편》(共著), 한국국학진흥원, 2009.
《스무살, 인문학을 만나다》(共著), 서울대 인문대, 2010.
《서구 문화와의 만남》(共著), 국사편찬위원회, 2010.
《조선 전문가의 일생》(共著),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정조와 정조시대》(共著),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共著), 경인문화사, 2011.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共著), 민음사, 2013.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2: 기록에서 사회로》(共著), 소명, 2014.
《17세기 대동의 길》(共著), 민음사, 2014.
《동서양의 문명과 한국》(共著), 민음사, 2014.
《조선 후기 과학사상사: 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남》, 들녘, 2016.
《한국문화와 유물유적》(共著),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의산문답: 천지와 인물에 대한 우화적 일탈》, 아카넷, 2019.
논 문
<F.Engels의 운동개념 및 그 형성과정 -「자연변증법」을 중심으로>《한국과학사학회지》제10권 1호, 1988. 12.
<朝鮮時代 農書에 나타난 木綿栽培技術>《한국과학사학회지》제14권 2호, 1992. 12.
<한국과학기술사의 종합적 체계화의 첫 시도 – 홍이섭의 《조선과학사》 서평 ->《역사와 현실》13, 1994.
<조선후기의 水車>《韓國文化》15, 1994. 12.
<The Late Emergence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Water Utilization in Choson Dynasty and Its Background>Hashimoto & Jami ed.,《East Asian Science : Tradition and Beyond》(Kansai University), 1995.
<18세기 조선 水利學의 등장과 그 推移>《韓國思想史學》9, 1997. 12.
<간척사업과 지형진화(Ⅰ) – 강화도 ->(공저)《농공기술》No.58, 1998. 3.
<18세기 조선 실학자의 자연지식의 성격 ― 象數學的 우주론을 중심으로>《한국과학사학회지》21권 1호, 1999. 6. 30.
<16․17세기 조선 우주론의 상수학적 성격 ― 서경덕과 장현광을 중심으로>《역사와 현실》34, 1999. 12. 31.
<과학사, 회고와 전망(1998)>《歷史學報》163, 1999. 9. 30.
<Traditional Cosmology Associated with the I-Ching and Anti-Cosmological Discourses in 18th-Century Korea>《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vol.12, 1999.
<과학사, 회고와 전망(1999)>《歷史學報》167, 2000. 9. 30.
<19세기의 사대부 과학자 남병철>《(계간)과학사상》33. 2000. 5. 25.
<18세기 후반 조선 과학기술의 추이와 성격 ― 정조대 정부 부문의 천문역산 활동을 중심으로>《역사와 현실》39, 2001. 3. 31.
<한국의 전통과학>《과학과 사회》창간호, 2001. 4. 20.
<조선후기 자연지식의 변화패턴; 실학 속의 자연지식, 과학성과 근대성에 대한 시론적 고찰,>《大同文化硏究》38, 2001. 6. 30.
<최한기의 천문학 분야 미공개 자료분석 ― 《儀象理數》와 발굴자료 《踳駁》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23권 2호, 2001.12. 31.
<18세기 조선 수리학사(水利學史)>《한국문화사상대계3》, 2003. 4. 15.
<崔漢綺의 기론적 서양과학 읽기와 기륜설>《大同文化硏究》43, 2003. 9.
<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 담론의 역사적 성격 ― 徐浩修와 李家煥을 중심으로 ―>《東方學志》121, 2003. 9.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담론, 그 연속과 단절의 역사 ― 기론(氣論)적 우주론 논의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26권 4호, 2003.
<한국유학사상대계 과학사상사 서술의 과제와 방향>《국학연구》3, 한국국학진흥원, 2003.12.
<조선후기 서양 천문도의 전래와 신․고법 천문도의 절충>《한국과학사학회지》26-1, 2004. 6.
<홍이섭의 과학사 연구를 넘어서>《동방학지》130, 2005.
<전통적 자연인식 체계의 사적 변화 ; 상수학적․기론적 우주론의 심화․전개>《韓國實學思想硏究 4; 科學技術篇》,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혜안, 2005. 9.
<Re-Thinking “Independ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King Sejongs Reign>《The Review of Korean Studies》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19세기 호남 실학자 이청의 『정관편』저술과 서양천문학 이해>《한국문화》37,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2006.
<세종대 과학기술의 ‘자주성’ 다시보기>《역사학보》189, 역사학회, 2006.
<이청의 정관편에 담긴 자연지식의 역사적 위치>《제10회 다산학 학술회의 “다산학단의 학문적 성격과 성과”》, 다산학술재단, 2008.
<19세기 조선의 자연지식과 과학담론 : 명말明末·청초淸初 중국 우주론의 늦은 유입과 그 영향>《다산학》13, 2008.
<Late Circulation of the Early Qing Natural Studies in 19th Century Korea>《Historia Scientiarum》,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of Japan, vol. 17-3, 2008. 03.
<『東國·增訂·增補文獻備考』「象緯考」의 편찬과 영⋅정조대의 천문학>《진단학보》106, 2008. 12.
<Landscape and Historicity of Korean Science of the Early to Middle Nineteenth Century>《The review of korean studies》1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전근대라는 이름의 덫에 물린 19세기 조선 과학의 역사성>《한국문화》54, 2011.
<창조적 일탈의 상상: 19세기 초 이규경의 하늘과 땅에 대한 사유>《한국문화》59, 2012.
<‘鄕曆’에서 ‘東曆’으로: 조선후기 自國曆을 갖고자 하는 열망>《역사학보》218, 2013.
<중국과 조선에서의 빛과 소리에 대한 기론적 논의 : 17세기 방이지 학파와 19세기 초 이규경을 중심으로>《한국사상사학》44, 2013.
<15세기의 ‘風土不同論’과 조선의 고유성>《한국사연구》162, 2013.
<한국과학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 – 전근대 천문지리학 및 우주론 연구를 중심으로>《역사와 현실》92, 2014.
<김영식의 동아시아 과학 전통 읽기를 넘어서>《한국과학사학회지》36-3, 2014.
<칠정산의 역사적 의미와 사대부 천문학자 김담>《김담, 조선의 하늘을 열다》, 도서출판 느티나무, 2019.3.28.
<From Local Calendar to Eastern Calendar: the Aspiration for an Independent Calendar of the Kingdom in Late Choson Korea>, in Francesca Bray and Jongtae Lim ed., 《Science and Confucian Statecraft in East Asia》, Leiden: Brill,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