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나
성명이하나
직위부교수
학과국사학과전공사회문화사, 공공역사
사무실14동 603호홈페이지 
이메일ihanalee@snu.ac.kr연락처(02) 880-6185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사회사로 석사학위를, 한국 현대 문화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중, 감성, 서사를 키워드로 근현대 사회문화의 역사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문화 현장의 문제의식을 학문적 의제로 전환하고 학문적 의제를 문화 기획으로 확산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연구분야는 한국 근현대 사회문화사, 남북문화 비교, 공공역사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통속성’ 개념의 분화/분단과 문화평등주의>,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맥락과 공공역사가들>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국가와 영화>,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 – 플롯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주요 공저로는 <공공역사를 실천중입니다> 등이 있다.

관심주제
한국 근현대 사회문화사, 공공역사
약 력
  • 1995-1998 인디컴 TV프로덕션 기획PD
  • 2001-2024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및 연계전공 디지털예술학 강사
    2001-2004 강제규필름 프로듀서
    2005-2007 MK픽처스 프로듀서
    2010-201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2016-2018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18-2023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전문연구원
    2018-현재 역사공장/공공역사문화연구소 대표
    2024-현재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
저 서
  • 《국가와 영화》, 혜안, 2013.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 푸른역사, 2013.
    《감정의 인문학》 (共著), 봄아필, 2013.
    《감성사회: 감성은 어떻게 문화 동력이 되었나》 (共著), 글항아리, 2014.
    《반공의 시대: 한국과 독일, 냉전의 정치》 (共著), 돌베개, 2015.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 삐라 줍고 댄스홀 가고》 (共著), 창비, 2016.
    《Korean Screen Cultures: Interrogation Cinema, TV, Music and Online Games》 (共著), Peter Lang, 2016.
    《집단감성의 계보: 동아시아 집단감성과 문화정치》 (共著), 앨피, 2017.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1-3》 (共著),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1-8》 (共著),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3·1운동 100년》 (共著), Humanist, 2019.
    《시민의 한국사》 (共著), 돌베개, 2022.
    《공공역사를 실천중입니다》 (共著), 푸른역사, 2023.
    《Korean Film and History》 (共著), Routledge, 2023.
  •  
논 문
  • 〈일제강점기 ‘모범부락’ 정책과 조선농촌의 재편〉 《학림》 19, 연세대학교 사학과, 1998.
  • 〈정부수립기~1950년대 문화영화와 국가정체성〉 《역사와 현실》 74, 한국역사연구회, 2009.
    〈Imagining a Feminie Icon: Multiple Metamorphoses of Hawng Chin-i in Cinema and Television〉 《Korean Studies》 33, University of Hawaii, 2010.
    〈1960년대 문화영화의 선전 전략〉 《한국근현대사연구》 52, 한국근현대사학회, 2010.
    〈1950~60년대 재건 담론의 의미와 지향〉 《동방학지》 151, 국학연구원, 2010.
    〈1950년대 민족문화 재건 담론과 ‘우수영화’〉 《역사비평》 94, 역사문제연구소, 2011.
    〈1990년대 이후 한국사학계의 방법론적 모색–쟁점·좌표·가능성에 대한 비평적 검토–〉 《시대와 철학》 22(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1950~60년대 반공주의 담론과 감성 정치〉 《사회와역사》 95, 한국사회사학회, 2012.
    〈반공주의 감성 기획, ‘반공영화’의 딜레마 – 1950~60년대 ‘반공영화’ 논쟁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59, 국학연구원, 2012.
    〈유신체제기 ‘민족문화’ 담론의 변화와 갈등〉 《역사문제연구》 28, 역사문제연구소, 2012.
    〈1970년대 감성규율과 문화위계 담론-‘통속’의 정치학과 권위주의 체계〉 《역사문제연구》 17(2), 역사문제연구소, 2013.
    〈유신체제 성립기 ‘반공’ 논리의 변화와 냉전의 감각〉 《역사문제연구》 18(2), 역사문제연구소, 2014.
    〈북한 전쟁영화의 기억법과 소구법: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남한 전쟁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북한 전쟁영화〉 《통일연구》 19(1), 북한연구원, 2015.
    〈1970년대 간첩/첩보 서사와 과잉 냉전의 문화적 감수성〉 《역사비평》 112, 역사문제연구소, 2015.
    〈역사영화를 매개로 한 역사비평의 가능성〉 《사학연구》 121, 한국사학회, 2016.
    〈Anticommunism in Popular Culture: The Evolution and Contestation of “Anticommunist Films” in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German and European Studies》 1, Springer, 2016.
    〈1970~80년대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쟁투〉 《개념과 소통》 , 한림과학원, 2016.
    〈북한 ‘反간첩영화’에 나타난 냉전 이미지와 냉전형 인간〉 《현대북한연구》 20(2), 심연북한연구소, 2017.
    〈위기감과 자부심 사이–북한 ‘민족문화’ 개념의 분화와 변화〉 《역사비평》 122, 역사문제연구소, 2018.
    〈일제하 ‘활동사진(영화)대회’를 통해 본 식민지 대중의 문화체험과 감성공동체〉 《한국문화》 8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1990년대 이후 스파이영화의 지역적 계보〉 《대동문화연구》 105, 대동문화연구원, 2019.
    〈냉전의 경쟁과 모방–북한 전쟁첩보영화 <이름 없는 영웅들>에 나타난 냉전/분단의 상동성–〉 《민족문화연구》 8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북한 역사첩보영화 <붉은 단풍잎>의 역사재현과 냉전의 재구조화〉 《한국학연구》 72,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일제시기 조선 ‘영화계’의 형성과 ‘영화인’의 탄생〉 《한국사연구》 188, 한국사연구회, 2020.
    〈‘통속성’ 개념의 분화/분단과 문화평등주의〉 《대동문화연구》 113, 대동문화연구원, 2021.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맥락과 공공역사가들〉 《역사비평》 136, 역사비평사, 2021.
    〈영상자료로 보는 서울의 공간 이미지 변화와 주체의 시선-1950~60년대 문화영화와 극영화를 중심은로〉 《서울과 역사》 109, 서울역사편찬원, 2021.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와 개연성으로서의 역사〉 《역사비평》 139, 역사비평사, 2022.
    〈공공역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역사와 현실》 129, 한국역사연구회, 2023.
    〈전쟁 이후의 전쟁: 포스트냉전시대 한국 전쟁영화의 계보와 욕망〉 《드라마 연구》 71, 한국드라마학회, 2023.